인플레이션 4

금(GOLD)이 과연 인플레 헷지 수단인가?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2022056271 [천자 칼럼] 시험대 오른 金 [천자 칼럼] 시험대 오른 金, 장규호 기자, 오피니언 www.hankyung.com [현황] 40년 만의 인플레이션이 도래했다는데, 대표적 안전자산이자 ‘인플레 헤지’ 수단인 금 가격이 기대만큼 뛰지 않았다. [원인] 1) 디지털 금’이라는 암호화폐의 등장 암호화폐도 안전자산 비슷한 ‘방어자산’으로 불리면서 금의 체면이 이만저만 구겨진 게 아님. 하지만 비트코인도 지난 18일 4만달러대가 깨지며 전쟁 가능성 충격파를 견뎌내지 못함. 2) 안전자산 금’에 대한 과도한 환상 비교기간을 길게 잡으면 인플레 헤지 순(順)기능이 도드라져 보일 수 있지만, 기간이 짧으면 그렇지도 않음...

투자 source 2022.02.22

일본 부동산 역대급 불장 [국제] [금융] [부동산] [보충필요]

일본 부동산이 역대급으로 비싸다고 하네요, 이전에 80년대 버블 시절보다 더 비싼 최고가를 갱신했다고 합니다. 나중에 원인 분석 논문과 보고서를 찾아 정리해야겠습니다. 버블 경제에 대한 내용은 나무위키에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오미크론과 코로나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심해지고, 자산 가격도 같이 상승한 게 가장 주요한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 정부에서 디플레이션을 탈출하려고 발버둥 쳤었는데, 최근 CPI가 양수가 되어 오히려 물가를 안정하려고 한다는 기사가 인상 깊습니다. 45년간 그대로였는데…'이것' 가격 오르자 일본 '발칵' 45년간 그대로였는데…'이것' 가격 오르자 일본 '발칵', '10엔 과자' 45년 만에 값 올려 원자재 가격 줄줄이 치솟자 버티던 기업들 잇단 가격 인상 소비자물..

인플레 태풍 [산업] [경제]

[현황] 미국의 지난해 12월 CPI(소비자 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4%가 상승했습니다. 이는 1982년 6월 이후 약 40년 만에 최고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 문제가 심각해지자 바이든 정부도 지지율의 위기감을 느꼈고, 연준은 FOMC를 통해서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사를 보면 식료품의 가격이 많이 올라 바이든 대통령을 힘들게 하고 있는데요? 美 인플레 원인은? "우유·고기까지, 기업들이 팬데믹 악용해 가격 올리고 있다" "경쟁이 없는 자본주의는 자본주의가 아니다. 그건 착취다. 이것이 지금 육류와 가금류 산업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독립... www.pressian.com [원인] 현재 인플레이션의 주요한..

미중 무역합의 그 이후 [미중무역분쟁] [국제] [무역]

[현황] 2020년 미중 무역합의가 채결된 이후 2년 정도 시간이 흘렀다. 당시 합의 내용이 중국은 미국산 제품을 추가 구매한다는 것, 미국은 중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를 철폐하는 것이었다. [문제점] 중국이 합의를 제대로 지키지 않기 때문에, 미국도 똑같이 합의를 지키지 않고 관세를 부활시켜야 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때문에 쉽게 관세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 테이퍼링으로 인플레이션을 막으려하는 통화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도 생각하자. 이렇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참고 관세를 안 올리는 것이 이치에 맞지만, 정치적인 입장에서는 다르다. 바이든의 지지층들은 중국에 그냥 당하는 것을 싫어한다. 보복으로 관세를 올리기를 원한다. [중국의 핑계] 중국은 코로나19와 공급망 붕괴를 핑계로 목표 대미 수..